2025년 4월
SPECIAL
PEOPLE
READING
GLOBAL
KOFIC STORY
BOX OFFICE
주간 박스오피스
3월 4주차 위클리 박스오피스
글 _ 김선아(한국경제매거진 기자)
2025-03-25
2025년 3월 4주차 박스오피스 정상은 봉준호 감독의 <미키 17>이 차지했다. <미키 17>은 이번 주 23억 원의 매출과 24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누적 관객 수 284만 명을 기록했다. 지난주 대비 관객 수 감소폭이 크게 나타났지만 여전히 높은 화제성으로 박스오피스를 이끌고 있다.
2위는 <극장판 진격의 거인 완결편 더 라스트 어택>이다. 이 작품은 19억 원의 매출과 19만 명의 관객 수를 기록했다. 일본 애니메이션 팬들의 꾸준한 관심 속에서 메가박스 단독 상영임에도 불구하고 흥행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원작 팬들의 입소문 덕에 지속적인 관객 유입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누적 관객 수는 40만 명이다.
3위는 디즈니의 고전 명작을 실사화한 영화 <백설공주>다. 3월 19일 개봉한 이 영화는 개봉 첫 주 12억 원의 매출과 13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가족 단위 관객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디즈니 특유의 아름다운 영상미와 익숙한 이야기의 재해석을 내세우는 이 영화는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판타지다.
4위는 강하늘 주연의 신작 스릴러 <스트리밍>이다. 8억 원의 매출과 8만 명의 관객을 기록하며 박스오피스에 진입했다.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SNS와 인터넷 스트리밍을 소재로 구독자 1위 채널의 스트리머가 연쇄살인 범인을 추적하는 과정을 실시한 중계하는 이야기다. 현실감 넘치는 공포로 젊은 관객층의 관심을 끌고 있다.
5위는 올해 아카데미 장편 애니메이션 수상작인 <플로우>가 차지했다. 3월 19일 개봉 후 첫 주 5억 원의 매출과 5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대홍수로 일상을 잃은 고양이와 다른 동물들의 모험을 그리며, 내용과 기술 면에서 모두 애니메이션 영화 팬들의 관심을 받고 있어 앞으로의 성적에 귀추가 주목된다.
이번 주 국내 박스오피스는 <미키 17>과 <극장판 진격의 거인 완결편 더 라스트 어택>의 양강 구도 속에서 새로 개봉한 <백설공주>,
<스트리밍>, <플로우>가 다양한 장르로 관객층을 넓히고 있다. 다가오는 주말의 흥행 성적 변화가 기대된다.
3월 4주차 흥행 TOP10
미키 17
개봉일 2025-02-28
매출액 23억 원
관객수 24만 명
극장판 진격의 거인 완결편 더 라스트 어택
개봉일 2025-03-13
매출액 19억 원
관객수 19만 명
백설공주
개봉일 2025-03-19
매출액 12억 원
관객수 13만 명
스트리밍
개봉일 2025-03-21
매출액 8억 원
관객수 8만 명
플로우
개봉일 2025-03-19
매출액 5억 원
관객수 5만 명
콘클라베
개봉일 2025-03-05
매출액 5억 원
관객수 5만 명
고독한 미식가 더 무비
개봉일 2025-03-19
매출액 5억 원
관객수 5만 명
퇴마록
개봉일 2025-02-21
매출액 3억 원
관객수 4만 명
악령: 깨어난 시체
개봉일 2025-03-19
매출액 3억 원
관객수 3만 명
침범
개봉일 2025-03-12
매출액 2억 원
관객수 2만 명
2025년 3월 4주차 독립•예술영화 박스오피스 1위는 애니메이션 영화 <플로우>가 차지했다. 3월 19일 개봉한 이 영화는 이번 주 5억 원의 매출과 5만 명의 관객을 기록했다. 라트비아 출신 감독 긴츠 질발로디스가 100% 무료 툴로만 제작했다는 사실이 화제가 되고 있고, 대사 한 마디 없이 동물들의 몸짓과 소리로 흘러가는 이야기가 입소문을 타면서 빠르게 흥행세를 확장하고 있다. 누적 관객수는 6만 명이다.
2위는 <콘클라베>다. 교황 선출 과정을 배경으로 한 치밀한 정치 드라마로, 개봉 4주차인 이번 주에도 4억8천만 원의 매출과 5만 명의 관객을 기록하며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관객들의 몰입감을 높이는 현실적 묘사와 치밀한 시나리오가 강점으로 평가된다. 누적 관객 수는 19만4천 명이다.
3위는 일본 영화 <고독한 미식가 더 무비>가 차지했다. 동명의 인기 만화를 원작으로 해 2012년부터 방영한 드라마의 극장판으로, 3월 19일 개봉 이후 첫 주에 4억6천만 원의 매출과 5만 명의 관객을 기록했다. 음식과 여행이라는 힐링 요소를 절묘하게 버무린 작품으로 잔잔한 감동을 선사하며 감독, 각본, 주연을 맡은 마츠시게 유타카의 내한 이후 팬층을 중심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4위는 한국 애니메이션 <퇴마록>이다. 2월 21일 개봉 이후 꾸준한 인기를 유지하며 이번 주 3억 원의 매출과 3만6천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누적 관객 수가 50만 명에 육박하며 한국 애니메이션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5위는 미스터리 스릴러 <침범>이다. 사이코패스인 딸과 그를 두려워하는 엄마의 관계를 그린 이 영화는 이번 주 2억 원의 매출과 2만 명의 관객을 기록했다. 개봉 3주차에도 불구하고 탄탄한 스토리와 섬세한 연출로 꾸준히 관객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주 독립•예술영화 시장에서는 <플로우>가 신선한 소재와 감각적인 연출로 1위를 차지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콘클라베>와 <퇴마록> 역시 꾸준한 흥행세를 보이며 관객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고 있다.
3월 4주차 독립·예술영화 흥행 TOP10
플로우
개봉일 2025-03-19
매출액 507백만 원
관객수 53천 명
콘클라베
개봉일 2025-03-05
매출액 483백만 원
관객수 50천 명
고독한 미식가 더 무비
개봉일 2025-03-19
매출액 459백만 원
관객수 50천 명
퇴마록
개봉일 2025-02-21
매출액 304백만 원
관객수 36천 명
침범
개봉일 2025-03-12
매출액 206백만 원
관객수 24천 명
에밀리아 페레즈
개봉일 2025-03-12
매출액 73백만 원
관객수 10천 명
초혼, 다시 부르는 노래
개봉일 2025-03-19
매출액 80백만 원
관객수 9천 명
화이트 버드
개봉일 2025-03-12
매출액 45백만 원
관객수 6천 명
200% 울프: 최강 푸들이 될 거야!
개봉일 2025-03-12
매출액 35백만 원
관객수 5천 명
여성국극 끊어질듯 이어지고 사라질듯 영원하다
개봉일 2025-03-19
매출액 32백만 원
관객수 4천 명
2025년 3월 4주차 극장가는 외국영화의 꾸준한 강세 속에서 한국영화 점유율이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기간 동안 개봉된 영화는 총 11편으로, 전주(15편) 대비 4편이 감소했다. 이 중 한국영화는 단 3편만 개봉했고, 외국영화는 8편이 개봉하며 여전히 우위를 보였다.
이번 주 전체 극장 매출액은 102억 원으로 집계됐으며, 한국영화는 17억 원(점유율 17.7%), 외국영화는 85억 원(점유율 82.3%)의 매출을 기록했다. 한국영화의 점유율은 전주(14.9%) 대비 2.8%p 상승했다. 이는 외국영화의 매출이 전주(95억) 대비 크게 줄어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 주간 극장을 찾은 관객 수는 총 106만 명으로, 한국영화 관객 수는 19만 명, 외국영화 관객 수는 88만 명을 기록했다. 전주 대비 전체 관객 수는 10만 명 감소했으나, 한국영화 관객 수는 1만6천 명 증가했다. 한국영화에 대한 관객들의 관심이 일부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
신작 한국영화들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도 기존 상영작들이 선방했지만, 전반적인 극장가 분위기는 외국영화의 지속적인 우위가 여전하다. 앞으로 한국영화의 새로운 흥행작이 등장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근 4주간 극장 매출 및 한국영화 점유율
기간 | 전체 | 한국 | 외국 | ||||||||
---|---|---|---|---|---|---|---|---|---|---|---|
개봉편수 | 매출액(억 원) | 관객수(만 명)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개봉편수 | 매출액 | 관객수 | 점유율 | |
3월 4주차 | 11 | 102 | 106 | 3 | 17 | 19 | 17.7% | 8 | 85 | 88 | 82.3% |
3월 3주차 | 15 | 113 | 116 | 7 | 17 | 17 | 14.9% | 8 | 95 | 98 | 85.1% |
3월 2주차 | 19 | 167 | 173 | 5 | 27 | 30 | 17.1% | 14 | 140 | 143 | 82.9% |
3월 1주차 | 29 | 187 | 191 | 14 | 44 | 43 | 22.4% | 15 | 143 | 148 | 77.6% |